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2023 전공A•B 체육과 교육과정 기출 분석|교육과정 편제표 & 스포츠교육모형 문항 해설

think1165 2025. 7. 31. 18:46

2023 전공A•B 체육과 교육과정 기출 분석|교육과정 편제표 & 스포츠교육모형 문항 해설

2023학년도 중등 체육 임용시험 전공A 영역에서 출제된 ‘체육과 교육과정’ 문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해석, 교육과정 편제표 분석, 그리고 스포츠 교육 모형의 실제 적용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두 문항을 중심으로 지문과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문항의 정답 요소, 출제 의도, 핵심 이론을 상세히 해설하고 2024 대비 학습 전략까지 안내합니다.

 

목차

 

A1. 교육과정 편제표 문항 해설

정답 수 및 문항 유형

문항 유형: 단답형
정답 수: 2개 (㉠, ㉡)

㉠ 정답 해설

지문 요약: A고등학교는 3학년 학기에 ‘체육’ 과목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
정답: 학기
근거 설명: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따르면 체육 교과는 매 학기 편성 운영되어야 하며, A고교의 경우 3학년 1·2학기 모두 체육 과목이 편제표에 빠져 있음.
관련 근거: 교육부 고시 제2022-2호, 체육 교과 편성·운영 지침

㉡ 정답 해설

지문 요약: B고등학교는 '운동과 건강'을 2학점으로 편성
정답: 5
근거 설명: ‘운동과 건강’은 일반 선택 과목이며, 3~5학점 범위 내에서 편성해야 함. B고는 기준에 미달인 2학점으로 편성해 기준 위반.
관련 근거: 2015 개정 교육과정 체육과 세부 기준, 일반 선택 과목 편성 지침

 

B4. 스포츠 교육 모형 적용 문항 해설

정답 수 및 문항 유형

문항 유형: 서술형
정답 수: 총 4개 (㉠, ㉡, ㉢, 메츨러 기준 2가지)

㉠ 정답 해설 - 스포츠 교육 모형의 핵심 특징

지문 요약: 13~19차시에 ‘정규 시즌 운영’ 단계에서 공백(㉠)
정답: 기록원, 응원단, 기자 등 다양한 역할 부여
근거 설명: 스포츠 교육 모형의 특징 중 ‘책임감 있는 역할 수행’ 요소에 해당. 정규 시즌 동안 학생은 선수 외에도 다양한 공식적 역할을 수행해야 함.
관련 이론: Siedentop의 스포츠교육모형(SEM)

㉡ 정답 해설 - 평가 요소

지문 요약: 평가표 항목 중 체크리스트와 GPAI 항목 혼합
정답: 선수평가
근거 설명: 문항에서 제시된 평가표에는 ‘기본 기능’, ‘전술’, ‘바람직한 행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있었지만, 여기서 요구한 것은 학생 개개인의 경기력, 기술, 경기 이해도 등을 중심으로 한 평가입니다. 이는 스포츠 교육 모형에서 정규 시즌과 결승전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경기 수행을 구조화하고 평가하는 방식과 연결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평가 요소는 선수 평가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교수자가 선수의 기술 및 전술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관련 이론: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기능 영역

㉢ 정답 해설 - 내용 요소

지문 요약: 게임 수행 능력 측정, 실제 상황에서의 판단, 움직임
정답: 팀워크
근거 설명: 문항에서 ㉢에 해당하는 평가 준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야구 경기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 다하고 팀의 공동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명백히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중 ‘팀워크’에 해당합니다. ‘팀워크’는 공동체적 태도, 협력, 상호 존중, 소속감 등의 개념을 포괄하며, 단순한 협동을 넘어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역량’으로 강조됩니다.
관련 이론: 체육과 내용 체계(영역: 게임), 2015 개정 교육과정

메츨러 기준 - 교사에 의한 종목 선택 방법

정답 1: 교사 선호에 의한 선택
정답 2: 학습자 필요 분석에 기반한 선택
근거 설명: Metzler는 교사가 스포츠 종목을 선택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래 두 가지를 제시했습니다.

  1. 교사의 전문성과 선호도에 따른 선택: 교사가 자신이 잘 알고 가르칠 수 있는 종목을 우선 선정
  2.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 기반 선택: 학생들의 수준, 관심, 참여도를 고려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종목을 선택

이 두 방법은 수업 운영의 유연성과 현실성을 높이는 동시에, 학습자 중심 수업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판단 기준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관련 문헌: Metzler, M. (2011).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정답 요약표

기호 정답 키워드 이론명 학자/출처
㉠ (A1) 학기 체육 교과 편성 지침 교육부(2022-2호)
㉡ (A1) 5 일반 선택 과목 기준 교육부(2015 개정)
㉠ (B4) 다양한 역할 부여 스포츠교육모형 특징 Siedentop
㉡ (B4) 기본 기능 기능 수행 평가 체육과 성취기준
㉢ (B4) 게임 상황 판단 내용 요소 2015 체육과 교육과정
메츨러 교사 선호 / 학습자 요구 수업 설계 기준 Metzler (2011)

 

참고문헌

  • 교육부 (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 Metzler, M. (2011).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Pearson.
  • Siedentop, D. (1994). Sport Education: Quality PE through Positive Sport Experiences.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s://nci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