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3 체육 임용 기출 해설|체육교육론 A6·B4·B5 완벽 분석

think1165 2025. 8. 6. 23:28

2023 체육 임용 체육교육론 기출 완벽 해설|A6·B4·B5 문항 분석과 이론 정리

2023학년도 체육 임용시험에서 체육교육론 문항은 전공 A6, B4, B5에서 집중 출제되었습니다. 이들 문항은 체육 수업 설계 및 운영의 실제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 동시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모형 중심 수업 이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응용형 문항입니다. 본 글에서는 각 문항의 정답과 함께 관련 이론을 상세히 해설하여, 수험생이 문제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실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목차

 

전공A 6번: 탐구 수업 모형과 Tillotson 문제 해결 단계

정답

  • ㉠ 경기 기능
  • ㉡ 전략
  • ㉢ 안내
  • 오류 항목 및 수정안
    • 내용 선정:
      기존: 학생이 스스로 탐색하고 해결할 내용을 결정함
      수정: 교사가 수업 목표에 부합하는 탐구 주제를 설정하고, 학생은 그 주제 내에서 해결 방법을 탐색함
    • 과제 제시:
      기존: 학생이 수업에서 탐구할 질문을 스스로 설정
      수정: 교사가 탐구할 수 있는 질문의 틀 또는 예시를 제공하고, 학생은 이를 참고해 질문을 구체화함

이론 해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네트형 경쟁’ 영역에서는 핵심 내용 요소로 경기 기능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는 해당 영역에서 학생들이 경기 수행을 위해 습득해야 할 구체적인 기능(예: 서브, 리시브 등)과, 상황에 따른 전술적 사고를 포함합니다. 성취기준 [9체03-10]은 기능 및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경기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또한 Tillotson이 제시한 5단계 문제 해결 수업 과정 중 ‘문제에 대한 ㉢’은 안내(guidance)로, 교사가 피드백과 단서를 제공하여 학생의 탐구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Metzler(2011)의 수업 주도성 프로파일에 따르면, 탐구 수업 모형은 학습자가 문제를 스스로 탐색하는 과정이 중심이지만, 그 출발점이 되는 ‘내용 선정’과 ‘과제 제시’는 교사가 구조화해야 합니다. 학생에게 완전한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설정한 탐구 주제나 질문 틀 안에서 사고를 전개하는 것이 효과적인 탐구 수업의 핵심입니다.

 

전공B 4번: 스포츠교육모형 적용 수업 설계

정답 요약

  • ㉠ 다양한 역할 수행
  • ㉡ 선수 평가
  • ㉢ 팀워크
  • 종목 선택 기준: 교사 선호, 학습자 흥미 (Metzler)

이론 해설

스포츠 교육 모형은 학생들이 실제 시즌처럼 운영되는 수업 환경에서 다양한 역할(선수, 심판, 기자 등)을 수행하게 하며, 협동과 책임감을 내면화하도록 설계된 수업 모형입니다. 평가 요소로서 선수 평가는 단순한 기능 평가를 넘어, 게임 수행, 팀워크, 규칙 준수 등 스포츠 전반에 걸친 포괄적 평가를 포함합니다. 또한 팀워크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2015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중 공동체적 태도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종목 선택 기준은 Metzler가 제시한 바와 같이 교사의 전문성과 학생의 흥미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는 수업의 실현 가능성과 참여도를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전공B 5번: 교수 스타일과 책임감 수준 적용

정답

  • ㉠ 3단계 (참여)
  • ㉡ 연습 스타일 (과제 전: 교사 / 중: 학생 / 후: 교사)
  • ㉢ 상호학습 스타일 (전: 교사 / 중: 학생 / 후: 피어)
  • ㉤ 거리 (움직임 결과)

이론 해설

헬리슨의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모형에서 3단계 ‘참여’는 학생이 과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자기 동기를 발휘하는 수준입니다. 이 단계는 다양한 교수 스타일 적용의 기초로, 자율적 학습의 전환점이 됩니다. 모스턴과 애슈워스의 교수 스타일 이론에서 ‘자기 평가 스타일’은 학생이 교사가 제공한 기준에 따라 자신의 수행을 독립적으로 평가하는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연습 스타일상호학습 스타일을 기반으로 발전됩니다. 연습 스타일은 과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학습 책임을 부분적으로 담당하게 하며, 상호학습 스타일은 학생이 짝의 수행을 평가하는 구조를 통해 자기 평가 능력을 간접적으로 훈련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움직임 결과를 평가 기준으로 삼을 때, 예컨대 육상 종목에서는 ‘자세’보다는 거리와 같은 객관적 지표가 적절하며, 이는 수행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 평가 스타일의 본질에 부합합니다.

 

정답 요약표

문항 정답 키워드 핵심 이론 학자/출처
A6 경기 기능, 전략, 안내, 주도성 오류 수정 탐구 수업 모형, 문제 해결 과정 Tillotson, Metzler
B4 선수 평가, 팀워크, 다양한 역할 수행 스포츠 교육 모형 Siedentop, Metzler
B5 3단계 책임감, 자기 평가 스타일, 거리 교수 스타일 이론, 책임감 모형 Mosston & Ashworth, Hellison

 

참고문헌

  • 교육부 (2015).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서.
  • Tillotson, J. (2000). Problem Solving in Inquiry Teaching.
  • Metzler, M. (2011).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Pearson.
  • Mosston, M. & Ashworth, S. (2008). Teaching Physical Education (6th Ed.). Pearson.
  • Hellison, D. (2003). Teaching Responsibil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